[현장 카메라]장기 실종자 찾는 마지막 희망 ‘AI 몽타주’

[현장 카메라]장기 실종자 찾는 마지막 희망 ‘AI 몽타주’

ppbr br [앵커]br실종 아동을 애타게 찾는 부모에게 몽타주는 유일한 희망이기도 합니다. br br최근에는 실종 당시의 모습을 가지고 세월이 흐른 현재의 모습을 추정해 그려준다는데요. br br현장카메라 곽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brbr[기자]br[서기원 실종아동 서희영 양 아버지] br"강원도부터 제주까지 안 가본 데 없이 다 가봤죠. 열흘이면 찾겠지, 한 달이면 찾겠지…. 30년 이렇게 흘러버린 거죠." brbr여전히 잃어버린 가족을 애타게 찾는 실종자 가족들이 많습니다. br br시간이 지날수록 실종 당시 모습으로는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는데요. br br마지막 희망이 될 몽타주를 만드는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br br2000년 경기 안산의 집 앞에서 5살 아들을 잃어버린 최명규 씨, 이사를 간 뒤에도 살던 집을 꼬박꼬박 찾아갑니다. br br[최명규 실종아동 최진호 군 아버지] br"혹시 아이가 기억을 해서 우체통이나 이런 데다가 자기의 흔적을 남겨놓고 가지 않을까 그런 생각으로…." br br아들의 성장한 모습을 담은 현수막과 포스터도 곳곳에 걸어뒀습니다. br br2015년 개발된 AI 기술을 적용해 현재 모습을 예측한 겁니다. br br[최명규 실종아동 최진호 군 아버지] br"1년, 1년 계속 지나가면서는 솔직히 막막했었죠. 이 사진만 갖고는 애들을 찾을 수가 없으니까." brbr약 20년 전 찍은 제 사진인데요. br br이 사진을 바탕으로 나이 변환을 한번 해보겠습니다.brbr20대부터 40대까지 얼굴형과 피부 질감, 주름 등에 변화가 생깁니다.br br[김익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Iㆍ로봇연구소장] br"컴퓨터가 계산을 하는 겁니다. 어떤 경우는 헤어 스타일의 변화가 생길 수도 있고 어떤 경우는 표정에 변화가 생길 수 있고." br br현재 나이에 맞게 몽타주를 다시 그리는 방식도 더 정교해졌습니다. br br얼굴형과 헤어스타일을 고르고 눈 크기와 쌍꺼풀 모양, 미간 넓이도 조절합니다. br br[이봉예 경찰청 몽타주 작성관] br"오른쪽 코가 옆으로 좀 넓게 있다 그러면 이렇게 움직이는 거죠. 미세하게 한 부분을." brbr가족이나 목격자 진술은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br br[이봉예 경찰청 몽타주 작성관] br"(일부 실종자의 경우) '주변 사람이 절에 맡겼다'라는 얘기도 있는 것 같아서 머리 없이 스님의 모자 같은 (것을 씌운) 경우도 있었죠." br br지난해 기준 20년 이상 장기실종아동은 1044명입니다. br br실종자 가족들이 요청하면 각 시도경찰청은 AI를 활용한 몽타주를 만들어 실종자 찾기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br br현장카메라 곽민경입니다. br brPD: 윤순용 brAD: 최승령 br작가: 신채원br br br 곽민경 기자 minkyung@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1

Uploaded: 2025-02-24

Duration: 02:4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