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도 한몫한 출산율 반등..."구조적 변화 필요" / YTN

기업들도 한몫한 출산율 반등..."구조적 변화 필요" / YTN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9년 만에 반등했다는 반가운 소식이 있었죠. br br 정부가 내놓은 각종 지원책에 더해 기업들이 도입한 출산 장려책도 출산율 제고에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인데요. br br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출산율을 더욱 끌어올릴 근본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br br 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2021년 이후 출산한 직원에게 아이 한 명당 1억 원씩 통 큰 지원에 나선 부영. br br 올해까지 총 98억 원을 지급했습니다. br br 부영이 쏘아 올린 공에 다른 기업들도 동참했습니다. br br 쌍방울은 첫째, 둘째 아이 출산 시 각각 3천만 원, 셋째 아이 출산 시 4천만 원을, br br 크래프톤은 출산장려금 6천만 원과 함께 자녀가 만 8세가 될 때까지 매년 5백만 원씩 최대 4천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br br 각종 현금성 지원에 더해 육아휴직 의무화라든지 난임 시술 지원과 같은 정책도 나왔습니다. br br 롯데는 배우자가 출산한 남성 직원에게 출산휴가 한 달을 의무화하고 br br 두산은 육아휴직자가 있는 팀에 인당 최대 50만 원씩 지원금을 주기로 했습니다. br br [송재옥 롯데마트 직원 : 임신 전 기간에 걸쳐서 4시간 단축근무를 진행하고 이에 대한 급여가 다 보전이 됩니다. 아내가 그 제도를 보더니 '아, 이제 둘째 낳을 만하다' 너무 이 제도가 잘 돼 있어서….] br br 하지만 모든 기업에서 이 같은 파격적 지원을 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br br 프리랜서나 자영업자 등 육아휴직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도 여전히 많습니다. br br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있는 대목입니다. br br [김도연 경기도 성남시 동원동 : 국가에서 (제대로) 지원해주면 좋은데 그렇지 못하다 보니까…. 요즘은 딩크족도 많고 출산 자체를 안 하는 쪽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고….] br br 9년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지만,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OECD 38개국 평균 합계인 1.51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상황. br br 이런 배경에는 일·가정 양립이 어려운 환경이나 젊은 세대의 주거·고용 불안 등 구조적 문제가 여전하다는 점이 꼽히고 있습니다. br br [이상림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 지금처럼 10만 원을 더 주니, 일주일이 아니라 2주로 늘린다든지 이런 차원이 아니라 아파트값 떨어지고 사교육비가 줄어들고 청년 일자리가 생기고 이런 식으로 가야죠.] br br 합계출산율 0.75명. br br 한때는 0.6명대로 주저앉는 거 아니냐는 암울... (중략)br br YTN 황혜경 (whitepaper@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10

Uploaded: 2025-03-01

Duration: 02:4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