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 브리핑 [국제 금값 1% 빠질 때 국내 15% 하락... '김치 프리미엄' 붕괴] / YTN

스타트 브리핑 [국제 금값 1% 빠질 때 국내 15% 하락... '김치 프리미엄' 붕괴] / YTN

3월 5일 수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br br 먼저 중앙일보입니다. br br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을 끊기로했죠. 우방이라 하더라도, 군사 원조를 언제든 맺고 끊을 수 있다는 인식을 확실하게 드러냈습니다. 우리나라도 트럼프식 강압외교의 타깃이 될지 모르는데우리 안보에 직격타가 될 '주한미군 철수' 카드 등 여러 시나리오를 분석한 기사입니다. 트럼프는 우리나라를 '부자 나라'로 불러왔습니다. 우리나라의 방위비 분담금을 늘리려 강수를 둘 수 있단 분석이 나옵니다. 한반도 전략자산 전개를 중단하려 할 수도 있는데요. 그러면 우리로선 자체적으로 대북 억제력을 고민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외교가 북한을 비롯한 반자유주의 국가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실리를 위해서 우방국의 안보도 수단화하고, 북한 등 적국과 협상을 타결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 트럼프는 1기 때 이미 주한미군 카드를 건드렸던 적이 있었죠. 이번에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다만 미국은 중국 견제가 우선이라는 큰 틀에서 볼 때 한미동맹, 한미일 협력을 훼손하진 않을 거라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우리나라로선 트럼프의 전략을 지켜보며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철저히 대비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br br 다음 서울신문입니다. br br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이 거의 안 나오는 시대죠. 우리나라에 짙게 드리운 양극화의 그늘을다뤘습니다. 외환위기와 함께 계층 사다리가 무너지고'N포 세대'가 늘었다는 내용입니다. 소득 상하위 10 간 연소득은 차이가 얼마나 벌어졌을까요? 격차가 2억 원이 넘습니다. 소득 5분위 배율은 5.72배인데, 이건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의 5.72배라는 뜻입니다. 계층 간 자산 격차를 키운 건 부동산, 집값 상승입니다. 유주택자와 무주택자의 자산 틈은 갈수록벌어지는 중입니다. 무주택 가구의 순자산이 18 늘어나는 동안 다주택 가구는 43 늘어났습니다. 부모의 직업과 자산, 인적 자본까지 대물림되면서 인생 역전은 신기루가 됐습니다. 1년 동안 소득 분위가 오른 국민은 18에그쳤는데요. 계층 사다리를 오른 사람이 5명 중 1명도안 된다는 얘기입니다. 청년 10명 중 8명은 한국 사회의 불평등이 더 심각해졌다고 느끼고 있었는데요. 결혼, 취업 등 여러 가지를 포기하는 'N포 세대'에 이어 이젠 계층 상승을 포기한 '계포족'이라는 말... (중략)br br YTN [정채운] (jcw178@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5

Uploaded: 2025-03-04

Duration: 06:08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