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사교육비 29.2조...4년 연속 역대 최대 / YTN

초중고 사교육비 29.2조...4년 연속 역대 최대 / YTN

지난해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이 29조 원을 넘어 4년 연속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br br 지난해 삼성전자 영업이익이 32조 원대인데, 그에 육박하는 규모입니다. br br 영유아와 이른바 N수생 사교육비는 들어가지도 않아도 이 정도인데요. br br 이승은 기자,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결과 전해주시죠. br br [기자] br 네, 지난해 초중고 학생 수는 513만 명으로 한 해 전보다 8만 명, 1.5 줄었습니다. br br 하지만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은 7.7 늘면서 4년 연속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br br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은 29조 2천억 원으로, 한 해 전보다 2조 천억 원 늘었습니다. br br 코로나 사태 때 줄었다가 이후 계속 상승하고 있는 겁니다. br br 사교육을 받지 않는 학생까지 포함한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7만4천 원으로 한 해 전보다 9.3 늘었습니다. br br 사교육 참여학생만 집계한 수치는 1인당 월 59만2천 원으로 7.2 증가했습니다. br br 특히 서울 고등학생의 경우 월 102만9천 원에 이르렀습니다. br br 초중고 평균 사교육 참여율도 1.5p 상승하며 처음 80 선을 넘었습니다. br br 정부 대책에도 사교육비가 계속 상승하고 있는 것은 입시와 미래에 대한 불안, 학원들의 쪼개기 강의 증가, 물가 상승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것으로 보입니다. br br 특히 중학교는 초중고 중 사교육비 총액 증가율이 9.5로 가장 높았습니다. br br 고교학점제와 2028학년도 대입을 처음 적용받는 데 따른 불안감에 학원 의존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가장 지출이 많은 학년은 56만천 원인 고1로, 증가율이 2, 3학년의 두 배 이상인 9를 기록했습니다. br br 갑작스러운 의대 증원 발표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br br 공교육 영역인 늘봄학교와 방과후학교 참여율은 36.8로 한 해전보다 4.3p 감소했습니다. br br 전체 학생의 EBS 교재 구입비율은 16.4로 0.3p 증가했지만 고등학생의 경우 1.2p 줄면서 4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br br 수능과 EBS 연계율 감소 영향으로 보입니다. br br 지금까지 YTN 이승은입니다. br br br 촬영기자 정철우 신홍 br 영상편집 정치윤 br 디자인 정은옥 br br br br br YTN 이승은 (selee@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5-03-13

Duration: 02:2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