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 브리핑 [헌재 앞도 한남동도 조용... 광장 찢었던 시위대가 사라졌다] / YTN

스타트 브리핑 [헌재 앞도 한남동도 조용... 광장 찢었던 시위대가 사라졌다] / YTN

4월 7일 월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br br 먼저 서울신문입니다. br br 지난 석 달 가까이 대규모 집회가 이어졌던헌법재판소 앞과 한남동.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의 모습은어땠을까요? 조용했습니다. 광장을 찢었던 시위대가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헌재 주변으로 가보겠습니다. 어제의 풍경인데요.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되고 맞은 첫 주말. 한복을 입은 외국인 관광객이 보입니다. 우리가 아는 북촌의 모습이죠. 안국역을 둘러싼 차벽과 바리케이드는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한남동 관저 인근도 주말 내내 조용했습니다. '그 많던 시위대는 다 어디로 갔을까' 신기할 정도입니다. 탄핵 찬반 양측의 충돌도 자주 있었고 1월엔 서부지법 폭동 사태도 있었죠. 그만큼 갈등과 분열이 심각했는데 다행히선고일인 4일엔 별다른 불상사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전광훈 목사 등 윤 전 대통령 일부 지지층은 광화문에서 집회를 이어가고있습니다. 경찰은 당분간 혹시 모를 사태에 만반의 대비를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br br 다음 경향신문입니다. br br 경북 대형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을 위한 임시주택 설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하지만 이재민들은 두 번 울고 있는데요. 일단 입주까지 한 달 이상이 걸리고, 임시주택도 원래 살던 곳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경북도에 따르면 2,800채가 넘는 임시주택이 필요합니다. 빠른 곳은 5월 초, 늦어도 5월 중에는 임시주택을 다 짓겠다는 계획인데실제 입주까진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부지 선정이 완료된 97곳 중 기반공사가 진행 중인 곳은 16곳에 불과합니다. 이재민들은 당장 올해 농사가 걱정입니다. 생업이 농업인데, 농경지와 대피시설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이죠. 임시주택의 대부분이 단지형으로 조성됩니다. 즉 이재민들이 원래 삶의 터전과는 멀리 떨어진, 원거리 임시주택에 들어가야 한다는 뜻입니다. br 새집을 짓는 건 더 어렵습니다. 주택 전소의 경우 지원금은 2천~3천6백만 원.여기에 전국에서 모인 성금이 배분된다고는하지만 집을 새로 짓기엔 턱없이 부족하겠죠. 이재민들은 자신의 집으로 돌아갈 길도 막막한 상황입니다. br br 끝으로 중앙일보입니다. br br '333만 원' 아이폰이 현실화될까요? 이 배경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있습니다. 애플이 직격탄을 세게 맞았고, 삼성전자는분주하게 계산기를 두드리는 중인데요. 관세 정책이 스마트... (중략)br br YTN [정채운] (jcw178@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69

Uploaded: 2025-04-06

Duration: 04:1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