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살아 돌아온 게 기적인 수준...'내돈내산' 진화대원 현실 / YTN

[자막뉴스] 살아 돌아온 게 기적인 수준...'내돈내산' 진화대원 현실 / YTN

지난달 산불 진화 작업에 투입됐던 지자체 산불예방진화대원 3명과 공무원 1명이 갑자기 확산한 불길에 숨졌습니다. br br 산불 현장에서 진화대원들의 인명 피해는 계속 반복됩니다. br br 지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산불 진화 관련 작업 중 다친 소방대원은 36명, 산림청 특수진화대원은 23명에 달합니다. br br 산림청 소속 특수진화대원들은 입사 한 달이 넘도록 진화복을 받지 못해 사비로 구입해 입고 산불 현장에 출동하는가 하면, br br 내구연한이 지나 곰팡이가 낀 헬멧을 쓰는 등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한다는 증언이 잇따릅니다. br br 도입된 지 10년째인데도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br br [신현훈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림청지회장 : 통일된 운영 교범도 없고, 현장에서 지휘할 때 현장 지휘 규범도 완성된 것이 없고, 교육 훈련 체계도 아직도 잡히지 않은 상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br br 지자체 소속 산불예방진화대원은 사정이 더 열악합니다. br br 봄과 가을철 몇 달만 일하다 보니 교육도 부실하고 전문성도 갖추기 힘든데, 산불과 관련 없는 업무에 투입되는 경우도 있다고 호소합니다. br br [방남철 전직 산불예방진화대원 : 본연의 업무가 아닌 위험 수목 제거 작업을 하시다가 안타깝게 운명을 달리하시는 일이 있었습니다.] br br 노후화된 진화 헬기도 문제로 지목됩니다. br br 올해 산불 진화 작업 도중 추락한 헬기 두 대는 생산된 지 각각 44년과 29년 된 기종이었습니다. br br 산림청이 보유한 진화 헬기 50대 중 34대가 생산된 지 20년을 넘긴 노후 헬기인데, 지자체 임차헬기 역시 사정이 좋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br br [이근영 교통대 항공운항학과 교수 : 지방자치단체가 저가 입찰을 통해서 헬기를 계약하는 그런 형태에서는 노후된 항공기가 계약되는 것이 피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br br 전문가들은 산불진화대를 확충하는 건 물론 전문성을 더 강화하고, 장비 개선 등 예산을 충분히 투입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br br 또 산불이 났을 때 산림청과 소방 사이 지휘 체계를 일원화하는 등 보다 효율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br br YTN 양동훈입니다. br br 촬영기자ㅣ이근혁 br 영상편집ㅣ고창영 br 디자인ㅣ김진호 br 자막뉴스ㅣ이 선 br br #YTN자막뉴스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2K

Uploaded: 2025-04-13

Duration: 02:1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