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 브리핑] 유럽·캐나다 이어 중국도 "아이폰 안 쓰고 스타벅스 안 마신다 / YTN

[스타트 브리핑] 유럽·캐나다 이어 중국도 "아이폰 안 쓰고 스타벅스 안 마신다 / YTN

4월 14일 월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br br 먼저 조선일보입니다. br br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미국 불매운동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br 유럽과 캐나다는 물론, 145 관세폭탄을 맞은 중국에서 거세게 확산되는 중인데요. br br 아이폰과 스타벅스 등 미국 불매 리스트도돌고 있습니다. br br 왼쪽 사진은 중국 인플루언서인데요. br br 맥도날드와 아이폰 사지 말고 중국 제품을쓰자고, 애국 소비를 홍보하고 있습니다. br br 오른쪽은 캐나다의 한 주류 매장인데 미국산 위스키를 진열대에서 치우고 있습니다. br br 트럼프 취임 이전부터 반미 분위기가 강했는데 요즘 미국 불매운동이 더 강렬해졌습니다. br br 중국 가게 곳곳에는 '미국인 손님은 돈 더 내라'는 현수막이 걸려있습니다. br br 미국이 때린 관세율만큼 추가 비용을 받겠다는 겁니다. br br 중국 한 대형 항공사가 보잉 항공기 인수를무기한 연기하는 등 반미 애국 소비가 기업으로도 확산 중입니다. br br 유럽에선 특히 일론 머스크에 대한 반감이 큰데요. br br 유럽 내 테슬라 판매량이 작년보다 반토막났고요. br br 미국을 여행한 유럽 관광객도 17가 줄었습니다. br br 미국의 51번째 주로 들어오란 굴욕을 겪었던 캐나다는 안티 트럼프 분위기가 더 강해졌습니다. br br 관세전쟁이 사그라들지 않는 한 미국 불매운동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다음 동아일보입니다. br br 대형 싱크홀이 연이어 발생 중입니다. br br 당장 어제 부산과 서울 도로 한복판에서 땅꺼짐이 발생했습니다. br br 하지만 땅이 왜 꺼졌는지 설명도 없다며,시민들의 불안감을 커져만 가는 중입니다. br br 왼쪽 사진 보겠습니다. br br 어제 오전 부산 사상구의 도시철도 공사 현장입니다. br br 가로 5m, 세로 3m, 깊이 5m가량의 싱크홀이 생겼습니다. br br 이번에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비슷한 사고가 잇따라 되풀이됐던 곳이라는 게 문제입니다. br br 시민들은 주변 땅이 꺼질까 봐 일부러 과속해서 횡단보도를 지나가는 경우도 있다고 말합니다. br br 어제 오전엔 서울 마포구 애오개역 부근에서도 싱크홀이 발생했고요. br br 당장 지난 11일에도 경기 광명의 지하터널공사현장이 붕괴돼 충격을 줬죠. 최근 싱크홀 사고가 난 곳들엔 공통점이 있습니다. br br 모두 주변에 지하 공사 현장이나 지하철역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br br 전문가들에 따르면 대규모 굴착공사 과정에서 땅속 구조가 바뀌고그러면서 지하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이게 점... (중략)br br YTN [정채운] (jcw178@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12

Uploaded: 2025-04-13

Duration: 05:1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