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경제] SKT, '2,500만 사용자'에 유심 100만 개뿐...재고 부족에 '대란' 오나 / YTN

[스타트경제] SKT, '2,500만 사용자'에 유심 100만 개뿐...재고 부족에 '대란' 오나 / YTN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br ■ 출연 : 서은숙 교수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br br br SK텔레콤 해킹 사고의 여파가 일파만파입니다. SK텔레콤에선 유심 무상 교체 카드를 꺼내들었는데요,이용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트럼프 2기가 출범한 지 100일이 돼갑니다. 혼란스러운 경제 정책에 시장도, 실물 경제도, 트럼프의 지지율도 무너져 내렸습니다.스타트경제, 서은숙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와 함께합니다. 주말 사이에 SK텔레콤 해킹 사고 굉장히 여파가 컸어요. 무슨 일이 있었던 겁니까? br br [서은숙] br 4월 19일 오후 11시 40분경에 해커의 악성코드 공격으로 인해서 유심 관련 일부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인지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유출된 정보는 유심 고유식별번호라고 부르는 거하고 그다음에 인증키 등으로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 민감한 개인정보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이 됐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커가 유출된 유심 정보를 활용해서 복제폰을 만들거나 아니면 문자 메시지 기반 본인인증절차를 우회해서 금융자산을 탈취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굉장히 문제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br br br 아직 구체적인 피해 규모나 유출 내용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인 거죠? br br [서은숙] br 일단 가입자가 2300만 명이고요. 그다음에 알뜰폰까지 하면 약 2500만 명 정도의 유심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확인된 거죠. 실제 피해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고요. 문제는 사고 인지한 시점하고 신고 시점의 불일치 이슈가 있습니다. 그래서 해킹 사실을 제일 처음 발견한 건 4월 18일 오후 6시 9분으로 알려져 있고요. 시스템 이상이 처음 감지됐고. 그다음에 오후 11시 20분에 서버에 심어진 악성코드를 발견한 것 같아요. 그런데 한국인터넷진흥원이라고 부르는 KISA가 해킹 사실이 있으면 24시간 내 과학정보통신국 혹은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즉시 신고를 해야 되는데 인터넷진흥원에 제출된 신고서에는 해킹 인지 시점을 4월 20일 오후 3시 30분으로 기재했어요. 법정시한을 넘긴 거 아니냐는 지적이 있고요. 왜냐하면 늦어지면 유출된 상황에서 막지 못해서 유출 피해가 굉장히 확대될 가능성이 크거든요. 그...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50

Uploaded: 2025-04-27

Duration: 10:37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