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초등학생이 교사 폭행...처참한 현실에 교대 합격선마저 '붕괴' / YTN

[자막뉴스] 초등학생이 교사 폭행...처참한 현실에 교대 합격선마저 '붕괴' / YTN

오늘은 스승의 날입니다. br br 그런데 최근 부산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에게 폭행당한 선생님이 도리어 학생 부모에게 아동학대로 고발당한 일이 있었습니다. br br 옆 반 친구와 싸우는 학생에게 화해를 지도하다가 선생님이 폭행을 당했는데, 선생님이 교권보호위원회 소집을 요청하자 벌어진 일입니다. br br 아직 수사 중인 사건이지만 스승의 날을 하루 앞두고 알려지면서 교직 사회는 또 씁쓸한 표정입니다. br br 잊을 만하면 반복되는 교권 침해 속에 교사들의 교직 만족도는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스승의 날을 맞아 조사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교직 생활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32.7에 그쳤는데요. br br 교사라는 직업이 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는 대답이 8.9로 10명 중 1명에도 못 미쳤습니다. br br 그러다 보니 교실을 떠날 생각을 하는 교사도 많은데,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했다는 응답이 58나 됐습니다. br br 고민하는 이유로는 '교권 침해 및 과도한 민원'이 77.5로 가장 많았는데, 최근 1년간 교사 절반 이상이 학생과 보호자에게 교권침해를 당했다고 응답했죠. br br 이런 교권침해로 교사 중 23.3는 정신과 상담이나 치료까지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근무 환경에 대한 만족도도 크게 떨어집니다. br br 보수 수준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84.4에 달했고 br br '수업보다 각종 행정업무를 우선해야 하는 경험을 했다는 교사는 90.9나 됐습니다. br br 교육정책에 현장 의견이 잘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96.9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죠. br br 현실이 이렇다 보니 교직 선호도도 추락하고 있습니다. br br 과거 최상위권 학생들이 지원하던 교대 합격선은 3등급 중반대로 떨어졌고, 자퇴 등 중도 이탈자 수도 급증하는 추세인데요. br br 전문가들은 이대로 가면 공교육 불신을 넘어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br br 교사가 자긍심과 보람을 느낄 수 있는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br br 앵커ㅣ조진혁 br 자막뉴스ㅣ이 선 br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8K

Uploaded: 2025-05-15

Duration: 02:01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