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해킹, 3년 전부터 시작...IMEI도 유출 가능성 / YTN

SKT 해킹, 3년 전부터 시작...IMEI도 유출 가능성 / YTN

SK텔레콤 해킹 사고를 조사 중인 민관합동조사단이 처음 해킹 공격이 이뤄진 시점을 3년 전인 지난 2022년 6월로 특정했습니다. br br 또 1차 발표와 달리 휴대전화 고유식별번호, IMEI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확인되는 등 피해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br br 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br [기자] br 민관합동 조사단의 2차 조사 결과 SK텔레콤 해킹 사고로 유출된 유심정보는 2,695만 건으로 사실상 전 가입자에 해당합니다. br br 발견된 악성 코드는 4종에서 25종으로, 감염된 서버는 5대에서 23대로 대폭 늘었습니다. br br 특히 개인 정보와 휴대전화 복제에 악용될 수 있는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IMEI가 저장된 서버 2대도 3년 전 해킹된 사실이 처음 드러났습니다. br br [최우혁 민관합동조사단장 : 악성 코드가 감염된 서버들에 대한 정밀 포렌식 분석 중 연동 서버에 일정 기간 임시로 저장되는 파일 안에 IMEI가 포함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br br 지난해 12월 이후 저장된 정보 29만여 건은 유출되지 않은 게 확인됐지만, br br 이전 시기에 대해서는 접속 흔적 이른바 로그 기록이 없어 유출 여부도 확인할 수 없습니다. br br [최우혁 민관합동조사단장 : 자료가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어떤 추정도 어렵다, 대신에 저희가 수사 상황이라든지 또 다른 추정 근거인 다크웹이라든지 이런 데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br br 지난달 말 1차 발표 당시 설명과 달리 IMEI가 유출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된 건데 br br 이럴 경우 유심 정보와 단말기 고유번호를 짝지어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식인 '유심보호 서비스'가 무력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br br 이번 해킹 사고의 피해 규모가 점점 커지는 가운데 민관합동조사단은 늦어도 다음 달 안에 최종 조사 결과를 내놓겠다는 계획입니다. br br YTN 김태민입니다. br br br 영상기자;고민철 br 영상편집;이정욱 br 디자인;지경윤 br br br br br YTN 김태민 (tmkim@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7K

Uploaded: 2025-05-19

Duration: 01:56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