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아는기자]전통 보수층 결집 모양새…국민의힘, 뒤집기 가능?

[여론 아는기자]전통 보수층 결집 모양새…국민의힘, 뒤집기 가능?

ppbr br [앵커]br여론 아는기자 정치부 구자준 기자 나왔습니다. brbrQ1. 구 기자, 대선 13일 앞두고 있는데, 이재명 후보가 무난히 되는 겁니까, 바뀔 수도 있는 겁니까? brbr저희가 실시한 여론조사로 답은 못드리지만 여론의 흐름을 가늠해 볼 부분은 있는 것 같습니다. br br일단 국민의힘의 1차 목표는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brbr지난주까지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을 50밑으로 떨어뜨리기, 그리고 이 후보와의 양자대결 격차를 한 자릿수로 줄이기가 목표였습니다.br br오늘 저희 조사 보면 그런 결과가 나왔죠. brbrQ2. 일단 3주 전보다 어디가 오른 거에요? brbr제가 살펴보니 일단 전통 보수 지지층이 뭉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brbrPK 부울경에선 역전됐습니다. br br3주 전 양자대결 조사에선 이재명 후보가 43.3, 김문수 후보 36.5였는데, 이게 39 대 47.4로 뒤집힌 거죠.brbr대구 경북에서는 두 사람 지지율 격차가 2.7p에서 12p로 커졌습니다.brbr정치성향으로 봐도 보수층의 김문수 후보 지지율이 64.8에서 80.9로 높아졌거든요.br br후보 확정 이후에 보수층이 결집하는 모양새입니다. brbrQ3. 그래서 궁금한 건, 13일 남겨두고 국민의힘 입장에선 뒤집기가 가능한 건가요? brbr매일 1포인트 올려서 다음주 사전투표 이후에 뒤집겠다는 게 국민의힘 목표인데요. br br그 목표를 이루려면, 앞으로 두 가지 숙제를 더 해결해야 합니다. brbr아까 영남 지역에서 뭉치고 있다고 말씀드렸지만, 지난 대선 때와 비교하면 TK와 PK 영남 지역에서 김문수 후보 지지율은 윤석열 전 대통령 득표율보다 20포인트, 10포인트가 적습니다.br br더 올려야 하죠.brbr또 하나 중도층도 잡아야 합니다. br br오늘 조사를 보면 중도층에서 이재명 후보가 거의 두 배 가까이 앞서 있거든요. br br수도권 중도층에서 이 후보와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가지 못하면 뒤집기는 힘들겠죠. brbrQ4. 게다가 지금 저희가 살펴보는 게, 양자대결이잖아요. 양자대결이 되려면 일단 단일화가 되어야 해요. brbr맞습니다.brbr최대 변수죠. br br유권자들도 남은 대선에 영향을 줄 가장 큰 변수로 단일화를 꼽았습니다. brbrQ5. 그런데 두 사람이 합치면 이길 수 있는 거에요? brbr그렇게 단순히 볼 일은 아닙니다. brbr산술적으로 보면요, 다자 대결에서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 지지율을 합치면 이재명 후보와 거의 박빙 수준으로 가죠.br br하지만 현실적으로 1+1이 2가 되지 않는다는 게 저희 조사로 확인됐습니다. brbr김문수 후보로 단일화되면 이준석 후보 지지자 중 5분의1이 이재명 후보에게 투표한다고 답했습니다. br br이준석 후보로 단일화될 경우 이재명 후보에게 투표한다는 김문수 후보 지지자는 2.4에 불과했지만, 없다, 잘모르겠다는 응답이 많았습니다.br br투표를 포기할 가능성이 큰 거죠. brbrQ. 지지층이 서로 달라서 그런가보죠? brbr저희 조사를 보면, 김문수 후보는 노년층, 이준석 후보는 청년층 지지세가 뚜렷합니다. brbr조사 결과를 보니, 김 후보로 단일화되면 20~30대가, 이준석 후보로 단일화되면 60~70대가 투표를 포기할 가능성이 컸습니다. br br단일화를 이뤄내냐만큼, 단일화 과정에서 서로의 지지층을 온전히 끌어안을 수 있느냐가 중요할 걸로 보입니다. brbrQ7. 반대로 민주당 입장에서는 영남 뚫고, 중도 지키면 이기는 거겠네요. brbr맞습니다. br br오늘 조사를 보면, 이재명 후보가 대구 경북 TK 출신을 강조하고, 보수 인사 영입 등 실용 컨셉으로 중도를 공략한 건 주효한 전략이었던 거죠. br br오늘도 이재명 후보는 수도권을 돌고, 선대위 인사들은 대구 경북으로 내려갔는데요. br br이 전략을 더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brbr네 지금까지 구자준기자였습니다.br br br 구자준 기자 jajoonneam@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21

Uploaded: 2025-05-21

Duration: 04:1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