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절벽 해소되나...추경만으로는 부족 / YTN

소비 절벽 해소되나...추경만으로는 부족 / YTN

요즘 곳곳에서 할인행사와 축제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br br 대내외 불확실성에 얼어붙었던 소비 심리가 풀릴지 관심이 모입니다. br br 이승은 기자가 대선 이후 첫 연휴를 맞은 소비자들을 만나고 왔습니다. br br [기자] br 부쩍 더워진 6월, 재래시장에 햇마늘과 햇감자가 그득합니다. br br 출하가 한창인 오이도 지난달보다는 한층 싸졌습니다. br br [이화옥 서울 성산동 : 살 것을 한 번 더 생각하고 두 번 생각하고 걸러서 좀 아껴서 쓰는, 저는 그렇게 살았어요.] br br 정치적 불확실성과 미국의 통상 압력에 국민들은 소득 증가에도 지갑을 꽁꽁 닫았습니다. br br 지난 1분기 물가를 감안한 가구의 실질 소득은 1년 전보다 2.3 늘었지만 실질 소비지출은 0.7 줄었습니다. br br 7개 분기 만에 처음 감소한 것이고, 그 폭은 4년여 만에 가장 컸습니다. br br 대선 뒤 첫 연휴, 모처럼 지역 축제에 들른 시민들은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냅니다. br br 한국은행은 앞서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가 4년 7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며 민간 소비가 1분기 바닥을 치고 올라올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br br [박형근 서울 미아동 : 좀 더 많이 여행을 다녀보고 싶어요. 여행을 다녀도 국내를 가야지 해외를 가면 큰 의미가 없잖아요.] br br 새 정부는 일단 지역화폐를 통한 지원금 등 이번 추경에서 대규모 소비 진작책을 담을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하지만 경기 대응책만으로는 경제 안전판인 내수를 다지는 데 부족합니다. br br [이정환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 (YTN 스타트경제 출연) : 현금성 지원도 중요하지만 인프라라든지 교육이라든지 (조금 어떻게 보면) 사회, 경제, 기술, 경제라든지 기술혁신을 도울 수 있는 부분에 분배를 잘 해서 체계적으로 나가야 되는 것이 아니냐….] br br 인구 고령화와 노동 투입 감소, 누적된 가계부채와 소득 양극화 등 내수를 제약하고 있는 구조적 문제 해결에 대해 어떤 청사진이 나올지 주목됩니다. br br YTN 이승은입니다. br br br 영상기자 이영재 br br 디자인 우희석 br br br br br YTN 이승은 (selee@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

Uploaded: 2025-06-07

Duration: 01:5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