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아리셀 화재 참사 1주기..."배터리 화재 사고는 여전" / YTN

화성 아리셀 화재 참사 1주기..."배터리 화재 사고는 여전" / YTN

경기 화성시 아리셀 공장에서 불이 나 서른 명 넘는 사상자가 발생한 게 1년 전입니다. br br 하지만 배터리 공장 화재는 여전히 잇따라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br 오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공장 건물 안에서 시커먼 연기가 피어오르더니 불꽃이 치솟습니다. br br 소화기를 들고 안간힘을 써보지만 순식간에 연쇄 폭발이 일어나면서 건물 전체를 집어삼켰습니다. br br 지난해 6월 24일, 배터리 폭발로 서른 명 넘는 사상자를 낸 경기 화성시 아리셀 공장 화재 당시 장면입니다. br br 이후 아리셀 박순관 대표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 등으로 기소됐는데, 화재 책임을 놓고 여전히 법정 공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br br 참사 1주기를 하루 앞두고 열린 재판에서 박 대표 측은 실질적으로 회사를 대표해 사업을 총괄하는 건 박 대표의 아들인 박중언 본부장이라고 주장했습니다. br br 박 대표가 실질적인 관리 책임자가 아닌 만큼 처벌 대상이 아니라는 주장인데, br br 유가족들은 참사 1주기가 다 돼가는데도 박 대표는 책임 회피에만 급급하다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br br [최현주 피해 유족 : (책임자는) 뻔뻔스럽게 살았어요. 살았으면 산 자로서 도리를 해야 되는데 도리는커녕, 오히려 죽은 사람한테 지금 책임을 넘기고 있습니다.] br br 법적인 처벌 문제뿐 아니라 당시 참사로 불거진 제도 개선 부분도 제자리걸음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br br 정부는 아리셀 참사 이후 화재 우려가 큰 배터리 공장에 대해 안전 관리를 강화했습니다. br br 특히 리튬 배터리 공장은 해마다 현장 안전점검을 받게 했지만, 피해자 가족들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br br [최현주 피해 유족 : (정부는) 비상구 훈련이나 소방 훈련을 한다고 하는데 그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건지, 진짜 화재가 났을 때 도움이 되는 건지 의심스럽습니다.] br br 실제 최근 경기 화성시에 있는 폐배터리 공장과 포항의 배터리 공장에서 잇따라 불이 나 불안감이 여전한 상황, br br 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br br YTN 오승훈입니다. br br 영상기자 : 심관흠 그래픽 : 김진호 br br br br br YTN 오승훈 (kimdaegeun@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5-06-23

Duration: 02:1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