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눈앞...서울시 "통합돌봄 실현" / YTN

'초고령사회' 눈앞...서울시 "통합돌봄 실현" / YTN

서울시도 이번 달 말이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합니다. br br 이에 서울시는 나이 들수록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오스트리아 빈의 사례를 참고해 '통합돌봄' 시설을 확충하기로 했습니다. br br 이형원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잘 가꿔진 정원에 깔끔한 외관을 갖춘 이곳은 재작년 문을 연 공공요양시설입니다. br br 요양과 데이케어는 물론 시설 내 병원 치료와 호스피스까지 제공합니다. br br 대부분 1인실로 이뤄져 개인 생활을 누리면서도, br br 주택가에 있어 지역 주민들과 이웃처럼 지낼 수 있는 게 장점입니다. br br [롤란드 포인들 카리타스 성 막달레나 입소자 : 길거리에서 주민들과 얘기도 할 수 있고, 근처 마트에 직접 장을 보러 갈 수 있는 게 좋습니다.] br br 심지어 요양시설 안에는 동네 아이들이 다닐 수 있는 유치원까지 있습니다. br br [우드리치 카리타스 성 막달레나 관리 책임자 : 입소자들과 유치원생들이 2주에 한 번씩 모여서 같이 운동하고 만들기 놀이도 하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자연스럽게 어울리고 있습니다.] br br 노인들이 통합돌봄을 받으면서도 지역사회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배려한 겁니다. br br 서울시는 존중받는 노후를 보장하기 위해 이곳처럼 도심에서 가깝고 지역주민들과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요양시설을 확충해나갈 방침입니다. br br 이를 위해 이미 추진하고 있는 관련 사업을 다시 점검하고, br br 실버케어센터를 2040년까지 대폭 늘리기로 했습니다. br br [오세훈 서울시장 : 어린이 시설과 어르신 시설 그리고 어르신들을 돌볼 수 있는 병원 시설 이런 것들이 함께 입주할 수 있는 곳들이 많이 늘어나도록 정책적으로 힘을 기울여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br br 서울시는 이 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주민 반대 문제는 해당 지역 거주자에게 요양시설 이용권을 일정 비율로 할당해 해결할 수 있다며, 관련 법 개정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br br YTN 이형원입니다. br br br 영상기자:정희인 br 영상편집:신수정 br 디자인:지경윤 br br br br br br YTN 이형원 (lhw90@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5-07-04

Duration: 02:13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