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첨되면 ‘15억 차익’ 청약에 22만 명 몰려

당첨되면 ‘15억 차익’ 청약에 22만 명 몰려

ppbr br [앵커]br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됐죠. br br그런데 최근 최대 15억 원 시세차익이 기대되는 이른바 '로또 청약'에 무려 22만 명이 몰렸습니다. br br일각에선 현금 부자 리그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br br우리나라에 현금 부자가 이렇게나 많은 걸까요. br br오은선 기자입니다.brbr[기자]br'재건축 최대어'로 꼽히던 둔촌주공 재건축 아파트 단지입니다. brbr주변 시세 대비 최대 15억 원의 차익 기대로 '로또 청약'으로 불려왔습니다.br br하지만, 이번 초강력 대출 규제가 큰 변수가 됐습니다. brbr현재 이 아파트는 소유권 보존 등기가 나지 않아 주담대를 받을 수 없고 입주가 완료돼 입주자 집단 대출도 사실상 불가능합니다.br br이번 대출 규제로 갭투자까지 막히면서 분양가 전액을 현금으로 갖고 있어야 만 청약이 가능합니다.br br이런 제약에도 지난 10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무순위 청약에는 22만 명이 넘게 몰렸습니다. br br총 4가구 모집에 경쟁률 평균 5만6천대 1이 나왔습니다. brbr내년에 결혼을 앞둔 30대 A씨는 자금 마련이 과제지만 '내집 마련' 걱정에 무작정 신청했습니다. br br[A씨 청약신청자] br"전세자금 대출이랑 신용 대출을 얼마나 받을지 알 수 없어 걱정이 많이 됩니다. 로또 청약이 된다 그러면 온갖 방법을 다 동원해서라도 자금을 마련해 일단 입주를 하는 게 (목표죠)" br br대출 규제로 경쟁률 수치는 낮아졌습니다. br br앞서 2023년 서울 동작구 아파트 무순위 청약에서는 1채에 83만 명이 신청해 역대 최고 경쟁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br br하지만, 대출 규제 여파로 청약 정책이 '현금 부자'리그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br[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br"돈 있는 무주택자끼리의 싸움이잖아요, 결국은. 대출력이 아니고 자금력이죠." br br전문가들은 현금 여력이 있는 사람들만 인기 단지에 진입할 수 있는 시스템은 부동산 초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br br채널A뉴스 오은선입니다. br br영상취재:한일웅 br영상편집:구혜정br br br 오은선 기자 onsun@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8.6K

Uploaded: 2025-07-13

Duration: 02:0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