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반복되는 죽음 막는다...공장에 생긴 따듯한 변화 / YTN

[자막뉴스] 반복되는 죽음 막는다...공장에 생긴 따듯한 변화 / YTN

미얀마에서 온 디하수 씨는 울산의 한 공장에서 9년째 일하고 있습니다. br br 한국으로 온 뒤, 현장에서 이름 대신 "저기요" 와 "야" 같은 호칭으로 불리는 일이 많았습니다. br br [디하수 미얀마 이주노동자 : '저기요' 이렇게 불러요. 그렇게 하면 안 좋아서 저도 싫어요.] br br 이주노동자들은 이름보다는 국적이나 외모 등으로 불리는 경우가 흔합니다. br br 서로의 이름을 불러주며 존중을 실천하자는 취지로 '이름 불러주기 캠페인'이 시작됐습니다. br br 국적도, 언어도 다른 이주노동자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br br 그리고 한 명 한 명의 이름이 불립니다. br br "미얀마 소코. 미얀마 디하수." br br 자신의 이름을 또렷하게 듣게 된 디하수 씨. br br 처음엔 어색했지만, 금세 기분이 좋아집니다. br br [디하수 미얀마 이주노동자 : 이름을 불러주니까 좋은 친구, 좋은 동료처럼 느껴져서 좋았어요.] br br 이주노동자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해마다 반복되고 있습니다. br br 산재 사망과 비슷한 수준으로, 괴롭힘과 차별, 수치심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br br 울산에는 약 만여 명의 이주노동자들이 현장에서 함께 일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차별을 겪고 있습니다. br br [전준봉 금화테크 대표이사 : (다른 현장에서)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욕설이 나오는 경우도 있고요. 이름을 불러줘서 일단 직원들이 존재감을 느끼고 또 그런 이름을 같이 부르다 보면 서로 동료애가 생기기 때문에….] br br 이번 캠페인을 시작으로 울산의 여러 산업 현장에서 이주노동자 존중 문화를 확산해나갈 예정입니다. br br [고정은 울산 북구 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안전보건실장 : 존중은 이름을 부르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생각에 출발했습니다. 차별 없는 안전한 일터, 그리고 더 나아가 지역 사회 안에서 서로를 존중하며 함께 사는 문화를 만들고자 기획하게 됐습니다.] br br '이름은 그 사람의 얼굴이자 마음'이라는 어느 시의 한 구절처럼, 존중과 안전한 일터를 만드는 첫걸음이 되는 순간. br br 서로의 이름을 불러주는 작은 존중을 시작으로 산업 현장에 따뜻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br br 라경훈입니다. br br br 영상기자 | 박민현 br 디자인 | 이윤지 br 자막뉴스 | 최지혜 안진영 br br br 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2

Uploaded: 2025-07-26

Duration: 02:19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