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마지노선 '15%'...막판 '조선업'으로 돌파구 찾나 / YTN

관세 마지노선 '15%'...막판 '조선업'으로 돌파구 찾나 / YTN

오는 31일 미국과의 관세 협상 최종 담판을 앞두고 우리나라 조선업이 협상 돌파구로 떠올랐습니다. br br 정부는 현지 투자부터 기술 이전, 인력 양성까지 전방위 협력으로 설득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미국이 한국 조선업에 관심 갖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br br 조선업을 재건해 제조업을 부흥하기 위한 목적과 중국의 해상패권 견제를 위해서입니다. br br 정부는 미국의 높은 관심이 확인된 만큼 조선업을 관세 협상의 핵심 지렛대로 보고 있습니다. br br 일본보다 기술력이 앞선 만큼 한국이 꼭 필요한 상대라는 점을 강조해 관세를 낮추겠다는 전략입니다. br br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ㅁ: 조선업 카드가 기존에 한국이 민감해하는 농축산물 등 비관세 장벽과 한국이 좀 여유가 부족한 펀드 기금을 다소 완화하는 데는 도움이 될 거 같은데요.] br br 우선 정부는 현지 조선소 지분 투자나 인수 등 투자 확대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br br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가 대규모 대출과 보증 등 금융지원을 하는 방안도 거론됩니다. br br 여기에 상선·군함 등 공동 건조와 기술 교류와 인력 양성 지원까지 전방위 협력이 논의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br br 이에 국내 조선업계도 정부와 논의하며 투자와 협력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br br 다만 일부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br br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YTN '뉴스START') : 우리 조선업의 강점이 미국에 넘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상당히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요. 그다음에 미국 내에서 현지 생산을 늘리는 것 역시 우리의 제조업 일자리가 미국으로 뺏기는 것이기 때문에….] br br 오는 31일 관세 담판을 앞두고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까지 미국과 협상을 타결지으면서 우리 정부의 부담은 더욱 커졌습니다. br br 두 나라가 합의한 관세율 15%가 사수해야 할 협상 마지노선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br br YTN 최아영입니다. br br 영상편집 : 이영훈 br br br br br YTN 최아영 (cay24@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5-07-28

Duration: 02:0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