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관세 후속 전략 대응...국내 증시 '세법개정안' 충격 / YTN

15% 관세 후속 전략 대응...국내 증시 '세법개정안' 충격 / YTN

■ 진행 : 엄지민 앵커, 정채운 앵커 br ■ 출연 : 주 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br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br br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됐지만, 한국산 자동차에 15 관세가 부과되고 농산물 시장 개방을 놓고 양국이 입장 차를 보이면서 후속 대응 전략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상호관세의 영향을 지켜보고 있는 국내 증시는 세제개편안 충격으로 어제 급락세를 보였는데요. 관세협상과 세제개편안이 우리 경제와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 짚어보겠습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세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을 하면서 관세협상이 공식화가 된 상황인데 7일부터 시행이 됩니다. 일단 우리는 15 상호관세 그리고 3500불 대미투자로 정리가 됐는데 아직 디테일이 남아 있는 상황이잖아요. 앞으로 추가 협상에서 우리가 집중해야 할 부분이 어디일까요? br br [주원] br 이거는 문서로 협상한 것도 아니고 비망록이라고 해서 한국과 미국 양쪽의 장관들이 적지는 않았겠죠. 그 밑에서 따라 적었을 텐데. 그게 내용이 틀릴 수가 있어요. 서로 간에 커뮤니케이션, 물론 통역이 갔겠지만 상당히 세부적인 면에서는 틀릴 수가 있기 때문에 우리가 2주 후에 정상회담을 한다고 하잖아요. 상식적으로 대통령과 대통령끼리 만나서 그런 세부적인 안을 논의할 시간도 없고, 그리고 미국 대통령이 워낙 바쁜 사람이고 정신이 없는데 그런 것까지 신경 못 쓰거든요. 그러니까 그전에 실무진 차원에서 서로 다른 얘기가 안 나오도록 그런 세부적인 거를 통일된 그런 문서까지는 아니더라도 한국과 미국의 공통된 그런 부분이 확실히 잡히고 나서 그다음에 대통령들끼리 정상회담을 해야 된다고 생각이 됩니다. br br br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이런 말을 했더라고요.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제안에 대해서 요구사항을 좀 더 올렸다. 그러면서 본인들에게 유리하게 협상이 잘 풀렸다라는 식으로 말을 했는데 우리는 이걸 어떻게 해석하면 될까요? br br [주원] br 올렸다는 게 투자금액을 올렸을까요? 아니면 관세를 올렸을까요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유럽도 투자금액이 보면 6000억 달러, 일본도 5500억 정도 되고 우리 쪽에서 조선업에서 1500억, 그다음... (중략)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5-08-01

Duration: 2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