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 브리핑] '빈곤의 덫'에 빠졌다... 기초수급 가구 20%, 10년 이상 지원받아 / YTN

[스타트 브리핑] '빈곤의 덫'에 빠졌다... 기초수급 가구 20%, 10년 이상 지원받아 / YTN

8월 6일 수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br br 첫 번째 기사 보겠습니다. br br 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20는 10년 넘게 생계급여를 받는 거로 나타났습니다. br br 장기 수급 가구들이 '빈곤의 덫'에 빠졌다는 서울신문 기사입니다. br br 보건복지부 자료를 보면 10년 이상 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는 37만여 가구가 넘습니다. br br 2015년에 25만여 가구였는데 쭉 증가세였고9년 새 47 가까이 늘었습니다. br br 5년 이상으로 범위를 넓히면 전체의 40 이상이 장기 수급자입니다. br br 물론 장기 수급자 중엔 고령자와 장애인처럼 일하기 어려운 분들도 많이계십니다. br br 하지만 일반 가구도 10만이 넘는데요. br br 일할 수 있는 이들도 수년째 제도 안에 갇힌 셈입니다. br br 노동시장에 들어오게 할 지원은 부족한데생계급여 보장 수준은 높아지니 머무르게 되는 거죠. 일보단 생계급여를 쭉 받는 게 나은 선택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br br 전문가들은 일정한 소득이 있어도 수급이 가능한 구조에선 빈곤을 벗어나기 어렵다고 지적합니다. br br 일해서 버는 소득과 생계급여의 균형을 어느 정도 맞출 필요가 있다는 얘기죠. 민간 취업 연계 프로그램을 늘려야 하는 것도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br br 다음 중앙일보입니다. br br 요즘 기업들 보면 20대보다 50대 직원이 많아졌다고 합니다. br br 대기업 37살 막내의 주 업무가 A4 자료 출력, 회의 자료 정리 등 잔일일 정도라고 하네요. br br 신입사원보다 부장급이 많아진세대 역전이 현실화된 겁니다. br br 한 기업분석업체 조사 결과를 보니까 국내 주요 대기업에서 30세 미만 직원 비중이 19.8입니다. br br 20 밑으로 떨어진 건 처음이고요. br br 50세 이상 비중은 20.1로 집계됐는데 20를 넘긴 것 역시 처음이고, 두 연령대의비중이 역전된 것도 최초입니다. br br 특히 이차전지나 IT, 석유화학 등의 업종에서 격차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배경은 간단해. 저출산과 고령화가 장기간 이어졌기 때문인데요. br br 신규 채용은 줄고 퇴직은 늦어지면서 기업 내 고령화 속도가 빨라진 겁니다. br br 나이 많은 막내, 그리고 생산성 떨어지는 만년 부장이 늘고 있다는 게 현장의 반응입니다. br br 기업들이 경력직을 선호하는 흐름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br br 세대 간 비중이 뒤바뀌는 전환점에 도달했다고 봐야겠죠. 유연한 고용 재설계가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도 신문은 함께 실었습니다. br br 이어... (중략)br br YTN [정채운] (jcw178@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

Uploaded: 2025-08-05

Duration: 05:00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