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측 ‘반중 문서’ 요구 가능성…최악 시나리오 대비

미국 측 ‘반중 문서’ 요구 가능성…최악 시나리오 대비

ppbr br [앵커]br뉴스A 시작합니다. brbr저는 동정민입니다. br br취임 후 가장 중요한 대통령의 '3박6일 ' 외교 일정이 드디어 내일 시작합니다. br br도쿄로 먼저 가서 일본 정상 만나고, 거기서 바로 미국 워싱턴으로 건너가 트럼프 미 대통령을 만납니다. br br동시에 같은 날 대통령 친서를 든 특사단은 중국으로 향합니다. brbr미국과 중국을 모두 잡겠다는 건데, 미국은 내심 불편한 기색을 보이고 있습니다.brbr미국 측이 '반중'에 대한 입장을 문서로 요구할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 우리 대통령실은 반중 문서 확약은 안 된다는 입장인데요. br br미국이 강하게 나올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전략을 짜고 있습니다. br br첫 소식, 이준성 기자입니다. brbr[기자]br오는 25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이 '반중'에 대한 입장을 우리에게 요구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br br일각에선 미국이 한미 공동성명에서 문서 적시를 요구할 거란 관측까지 나옵니다.brbr위성락 대통령 국가안보실장은 "중국에 대한 미국 조야의 입장이 종래보다 조금 더 터프한 게 있다"며 "그러한 기대가 우리한테 다가오는 것도 있다"고 말했습니다.br br트럼프 1기 덴마크 대사를 지낸 칼라 샌즈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 부의장은 이번 회담 의제로 '중국 영향력에 맞서는 방안 모색'을 꼽으며 "이재명 대통령의 미·중 양다리 전략은 그다지 성공적이지 않다", "이젠 선택해야 한다"고 압박했습니다. br br대통령실은 명문화된 문서로 남기진 않을 전망입니다. br br외교소식통은 채널A에 "미국이 반중 입장을 명확히 요구하더라도 문서 확약은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br br대통령실 관계자도 "반중에 대한 확답은 무리한 요구"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br br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중국 관계를 잘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brbr[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지난 5월)] br"미국뿐만 아니라 중국·러시아와 관계도 잘 유지하고, 물건도 팔고, 협력도 하고 그래야 하는 것 아닙니까?" brbr이 대통령이 강조해온 '국익 중심 실용 외교'의 첫 시험대가 될 전망입니다. br br채널A 뉴스 이준성입니다. br br영상취재 : 김기태 조승현 br영상편집 : 이희정br br br 이준성 기자 jsl@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35

Uploaded: 2025-08-22

Duration: 02:24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