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북한 김정은 방중 언급 없어...'반서방' 결속 주시 / YTN

미국, 북한 김정은 방중 언급 없어...'반서방' 결속 주시 / YTN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중국 방문에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 br br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서 '반서방' 진영 결집에 합류한 인도에 대한 압박을 이어갔습니다. br br 워싱턴 연결합니다. 신윤정 특파원! br br 트럼프 대통령이 조만간 중국을 방문하고, 올해 안에 김 위원장과 만나고 싶다고 말했었는데, 김 위원장의 방중에 대해선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고요? br br [기자] br 네, 미국은 현재 9월 1일 노동절로 공휴일입니다. br br 트럼프 대통령은 공식 일정 없이 백악관에 머물고 있는데, 김 위원장의 방중과 관련해 별다른 메시지를 내지 않았습니다. br br 백악관 역시 홈페이지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노동자들을 위해 이룬 일자리 창출 등의 성과를 재조명하는 보도자료만 냈습니다. br br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들의 초점은 아직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하지 않은 인도에 맞춰진 모습입니다. br br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트루스 소셜에 "인도가 미국 제품에 관세를 없애겠다고 제안했다"고 밝히면서 "수년 전에 그랬어야 했는데 이미 늦었다"고 썼습니다. br br 인도가 미국에 엄청난 양의 상품을 판매하면서도 미국을 상대로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일방적인 관계'를 지속해 왔다고 지적했는데요, br br 그러면서 인도가 원유와 군사 제품 대부분을 러시아에서 사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br br 미국은 이런 이유로 지난달 27일부터 인도에 최고 50에 이르는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br br 트럼프의 '관세 책사'로 불리는 백악관 피터 나바로 무역 고문도 어제 방송에 나와 인도를 맹비난했는데요, 내용 잠시 들어보겠습니다. br br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 고문 : 푸틴은 모디에게 원유를 할인해 줍니다. 인도는 원유를 정제해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로 큰 프리미엄을 붙여 수출하고 엄청난 돈을 법니다. 바로 그것이 러시아 전쟁 기계에 연료를 공급한다는 겁니다. 인도는 크렘린의 세탁소일 뿐입니다.] br br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들의 인도를 향한 압박에는 중국에서 이뤄지고 있는 인도 등의 '반서방' 진영 결집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됩니다. br br 미국으로서는 중국 견제 첨병 역할을 해 온 인도의 친중국, 친러시아 노선 변화를 의식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br br 현지 언론들도 인도는 물론 중국발 반 트럼프 행보를 잇달아 조명하고 있는데요, br br 월스트리트저널은 1일 자 기사에서 이... (중략)br br YTN 신윤정 (yjshine@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6

Uploaded: 2025-09-01

Duration: 04:1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