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 순식간에 배터리 폭발..."재빠른 대피가 최선" / YTN

'펑' 순식간에 배터리 폭발..."재빠른 대피가 최선" / YTN

최근 아파트에서 배터리 폭발로 추정되는 화재가 잇따라 4명이 숨졌습니다. br br 비슷한 상황을 가정해 국립소방연구원이 실험했더니, 순식간에 폭발이 일어나 스프링클러가 있더라도 피해를 막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br 이형원 기자입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7월 부산 만덕동 아파트에 불이 나 80대 노모와 50대 아들이 숨졌고, br br 지난달 서울 마포에서도 아파트 화재로 60대 어머니와 20대 아들이 숨졌습니다. br br 4명의 목숨을 앗아간 화재 원인은 모두 배터리 열폭주로 추정됩니다. br br [이승재 서울 마포소방서 재난안전조사팀장 (지난달 18일) : 전동 스쿠터에 들어가는 배터리 팩이라고 추정은 됩니다. 2차 전지인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br br 국립소방연구원이 배터리 열폭주의 위험성을 직접 실험해봤습니다. br br 사고가 난 아파트 공간과 비슷한 크기의 컨테이너 안에서 전기 오토바이에 쓰는 대용량 배터리에 열을 가했습니다. br br 20여 분만에 가스가 뿜어져 나오자마자 열폭주가 일어나면서 창문이 깨지고, 시야 확보가 불가능해졌습니다. br br 폭발 40초 만에 앞을 분간할 수 없게 된 겁니다. br br 실내온도는 폭발 1분 만에 300도를 넘어서, CCTV가 녹아내렸고 마네킹과 벽 곳곳이 까맣게 그을렸습니다. br br 대피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 1분이 채 되지 않는 건데, br br 스프링클러가 작동해도 초기 피해를 막기는 어려웠습니다. br br [김수영 국립소방연구원 화재원인분석팀장 : (스프링클러가) 작동한다고 해도 바로 불을 끄지는 못합니다. 그 배터리에 관해서는요. 내부로 침투가 안 되기 때문에요. 대신 스프링클러는 그 주변에 2차 가연물로 화재가 확대되는 거는 어느 정도 막을 수가 있습니다.] br br 이에 대용량 배터리는 집 안에서 보관하거나 충전하지 말고, 불이 난다면 끄려고 시도하지 말고 재빨리 대피하는 게 최선이라고 당부했습니다. br br YTN 이형원입니다. br br br 영상편집 : 이은경 br 화면제공 : 국립소방연구원 br br br br br YTN 이형원 (lhw90@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11

Uploaded: 2025-09-02

Duration: 01:5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