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서버도 털렸다…3일 뒤 신고 늑장대응 논란

KT 서버도 털렸다…3일 뒤 신고 늑장대응 논란

ppbr br [앵커]br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한 KT에서 서버까지 뚫린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br br그런데 KT, 이 사실을 알고도 사흘이 지나서야 당국에 신고했습니다. br br현재 어떤 정보가 유출됐는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인데, 1300만 명의 가입자를 둔 거대 통신사의 초기 대응이 너무 허술합니다. br br김용성 기자입니다. brbr[기자]br1336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KT는 올해 4월부터 서버 전수조사를 실시해 침해 흔적 4건과 의심 정황 2건 등 6건의 침해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br br[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br"(KT는) 외부 전문기업의 보안 점검 결과를 통해 추가적인 침해사고가 있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어제 23시 57분에 정부에 신고하였습니다." br br최근 발생했던 무단 소액결제 사건에 더해 서버 침해 사실까지 확인된 겁니다. br br하지만 어떤 서버가 침해를 당했는지, 또 어떤 정보가 유출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br br유심인증키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제2의 SKT 사태로 비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brbrKT가 지난 15일 서버 침해 정황을 인지했지만, 사흘 뒤인 지난 18일 밤에야 신고해 늑장 대응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brbr현행법상 기업은 해킹 피해를 최초로 확인한 이후 24시간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brbrKT는 서버 침해와 관련해 "자세한 건 합동조사단을 통해서 발표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br br늑장대응 논란에 대해선 "내부 검증 절차를 통해 사실 관계 여부를 확인해 신고를 했다"고 해명했습니다. br br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 br br영상편집: 구혜정br br br 김용성 기자 dragon@ichannela.


User: 채널A News

Views: 0

Uploaded: 2025-09-19

Duration: 01:52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