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망 마비' 일주일째..."추석 국민 안전 최우선" / YTN

'전산망 마비' 일주일째..."추석 국민 안전 최우선" / YTN

국정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행정 서비스가 멈춘 지 벌써 일주일째로 접어들었지만, 복구 작업은 더디기만 합니다. br br 정부는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해 복구 기간을 단축한다는 방안을 내놨습니다. br br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봅니다. br br 양일혁 기자! 현재 복구 진행 상황 어떻습니까? br br [기자] br 낮 12시 기준으로 복구된 온라인 행정 시스템은 모두 112개입니다. br br 어제까지 101개 시스템이 복구된 이후 11개가 추가로 정상화 된 셈입니다. br br 화재로 가동을 멈춘 시스템은 모두 647개, 복구율은 현재까지 17.3에 이릅니다. br br 아직 복구를 기다리는 행정 서비스는 모두 535개에 이릅니다. br br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복구가 완료될 때까지 한 달가량은 걸릴 거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br br 정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현장상황실을 설치하고 밤낮없이 복구 작업에 매달리고 있는데요. br br 그런데 공무원들이 업무용 자료 저장 용도로 쓰는 'G드라이브'는 복구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br br 그동안 외부 백업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인데, 결국, 인사혁신처 등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중앙부처 공무원 12만 5천여 명의 업무용 개인자료가 모두 사라지게 됐습니다. br br br 곧 추석이 다가오는데 여전히 행정 시스템이 중단돼 국민 불편이 예상됩니다. br br 이에 대한 대책, 어떤 게 있습니까? br br [기자] br 조금 전인 오후 2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 이에 대한 기자 질문이 있었는데요. br br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은 정부는 추석 명절 연휴 동안 가장 우려되는 점으로 국민 안전과 관련된 부문을 꼽았습니다. br br 안전 디딤돌이나 재난안전포털 같은 재난안전시스템이 아직 복구되지 않았다며 우선 복구 대상에 포함하는 동시에, 신속한 상황 대응을 위해 지자체와 경찰, 소방이 24시간 상황 관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br br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재난안전통신망이라는 별도에 국가 통신망을 활용해 상황을 전파하고, 국민께서 알아야 할 재난정보는 재난문자 등을 활용해 안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br 또, 국민행동요령이나 대피 장소 안내는 민간 플랫폼인 네이버나 다음, 티맵 등을 활용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br br 구체적인 복구 계획 목표일도 언급했는데요. br br 김 차관은 손상된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 복구하는 작업을 오는 28일까지 완료해서 가동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 (중략)br br YTN 양일혁 (hyuk@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4

Uploaded: 2025-10-02

Duration: 02:55

Your Page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