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찾은 빅테크들...재생에너지 투자 "한국만 패싱?" / YTN

APEC 찾은 빅테크들...재생에너지 투자 "한국만 패싱?" / YTN

올해 APEC에는 엔비디아나 아마존웹서비스 등 빅테크 기업들이 대거 참석했죠. br br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 가능한 내일'이라는 회의 주제가 무색하게도 이 거대 기업들이 AI데이터센터 설립에 뒤따라야 할 재생에너지 투자를 유독 우리나라에서는 제대로 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br br 장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br [기자] br 지난 6월, SK와 함께 울산에 7조 원을 투입해 AI데이터센터를 설립하겠다고 발표한 아마존웹서비스. br br 울산을 택한 이유로 바로 옆 LNG 열병합발전소의 안정적 전력 공급을 꼽았습니다. br br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AWS 인프라 총괄 대표 : 울산은 안정적, 지속적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견고한 산업 기반을 제공하기 때문에 글로벌 기업이 투자하기 이상적인 장소입니다.] br br 하지만 비슷한 시기, 17조 원 규모의 호주 데이터센터 건립을 발표하면서는 태양광 발전소 투자를 핵심으로 내세웠습니다. br br 이미 가동 중인 태양광과 풍력 발전소 8곳에 이어 태양광 3곳을 더 추가해, 호주에서 세 번째로 많은 재생에너지를 구매하는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고도 홍보했습니다. br br 'RE100', 즉 소비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빅테크들의 의지는 굳건합니다. br br 구글은 지난 2017년부터, 애플은 2018년부터 자사 운영에 한해 RE100을 이미 달성했고, 마이크로소프트도 올해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br br 이들 기업은 2030년까지 반도체와 하드웨어를 포함한 공급망에까지 '100 재생에너지 전환' 기준을 적용한다는 계획인데, 당장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br br 화석 연료 비중이 85로 우리나라보다 높은 타이완에 구글이 1기가와트 규모의 태양광은 물론, 해상 풍력과 지열 에너지까지 투자한 건 그런 이유에서입니다. br br 반면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전력 생산은 6에 불과합니다. br br 생산된 전력을 유통하는 송전선로가 부족한 데다, 기업들이 선호하는 전력 구매 계약 등 관련 정책이 미흡하기 때문입니다. br br [강다연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기후에너지 캠페이너 : 한국 정부에만 책임이 있는 거냐, 그런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한국과 같이 재생에너지 인프라 자체가 부족한 국가에서 이미 AI 빅테크 기업들이 적극적인 실행을 통해서 재생에너지 시장 확대를 해왔습니다. (한국의) 공급망 기업들을 단순한 생산기지로 생각하는 게 아니고 전략적인 파트너로 ... (중략)br br YTN 장아영 (jay24@ytn.co.kr)br br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


User: YTN news

Views: 0

Uploaded: 2025-10-29

Duration: 02:55